티스토리 뷰

이번엔 상속세에 대하여 얘기 해 드리겠습니다.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을 우리는 상속세라고 부르죠. 요기서 약간 헷갈리는게 있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인데요. 둘의 차이와 상속세 면제 한도액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상속세는 증여자가 사망으로 인해 재산을 물려받아 보게 되는 경우이고, 증여는 생전에 재산을 물려주게되는 경우입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과 증여 한도도 전부 다르죠. 상속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건데요. 상속세 면제한도는 누가 받느냐에 따라서 다르죠.

먼저 상속의 순위에 대해서 먼저 잠시 알아볼게요. 때때로 연속극 보게되면 먼~~~ 친척의 재산이 상속되어 갑작스레 벼락부자가 될 수 있는 주인공이 많이 등장하죠.

상속세 면제 한도액

그렇지만 막상 가장 먼저순위를 보시면 현실은 얼굴도 모르시는 먼~~~친척이 받을 확률은 굉장히 적답니다ㅋ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등등 으로 나뉘어져 있고 그 이후는 촌수가 가까이에 있는자가 상속되어지게 되는데요. 또한 촌수가 같으시면 공동으로 받아 보게 되요.

상속세 면제 한도액

그렇게 된다면 상속세의 면제한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과세표준과 누진공제인데요. 아내 공제의 경우 5억, 자녀 1인당 5천만원까지 공제가 되어져요. 미성년자의 경우는 1인당 2천만원이 공제가 되요. 또한 무주택자인 자녀가 10년간 부모님과 같이 살다 집을 물려받아 보게 되어지시면 최대로 15억까지 공제가 되어지기도 합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또한 이 불편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상속세 관련하여 오토로 계산해주는 도구에 대하여도 안내해 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114'라고 검색을 해주시고 나서 상단의 서비스+를 누르시고 아래에 있는 '부동산계산기'를 눌러 주셔도 됩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그렇게 하면 이렇게 바로 사용을 해볼수가 있는 상속세 계산기가 나오도록 될듯합니다. 이번엔 방문자님 분들에게 상속세를 쉽고 간단하게 계산을 할 수가 있게 안내를 해보았습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상속세는 6개월 이내에 신고를 하셔야한다고 하네요. 상속세 면제 한도액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찾아 보게 되었는데요. 절세를 하기 위해서는 예전에 미리 증여를 통하여 약간씩 재산을 증여하는것도 절세의 한 방법이기도한데요. 그러면 오늘 포스팅은 이만 줄일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