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망신고 절차에 대해 알아보자
사망신고 절차는 주민등록에서 삭제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신고의무자와 신고적격자라는 두 가지 역할을 가진 사람들이 사망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신고의무자는 고인과 동거하는 친족이며, 신고적격자는 사망자와 함께 살지 않는 친족이나 사망장소를 관리하는 사람입니다.
사망신고를 위한 주요 절차
- 사망사실을 안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사망신고를 해야 합니다.
- 사망신고는 사망신고서를 작성하고 방문처리나 우편접수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 사망신고를 할 수 있는 장소는 사망자의 본적지 또는 신고인의 주소지나 현주지 시(구)·읍·면의 사무소, 사망지, 매장지 또는 화장지 시(구)·읍·면의 사무소, 사망자의 주민등록지를 관할하는 주민센터입니다.
- 사망신고를 위해 필요한 서류는 사망의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입니다. 사망진단서 또는 사체검안서, 사망증명서, 관공서의 사망증명서 또는 매장인허증 등이 필요합니다.
- 사망신고서는 주민센터에서 제공하는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하거나 우편접수를 통해 제출할 수 있습니다.
사망신고 절차 요약
1 |
사망사실을 안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사망신고를 해야 합니다. |
2 |
사망신고서를 작성하고 방문처리나 우편접수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
3 |
사망신고를 할 수 있는 장소는 사망자의 본적지, 신고인의 주소지, 사무소, 사망지, 매장지, 화장지 시(구)·읍·면의 사무소, 주민센터입니다. |
4 |
필요한 서류로는 사망진단서 또는 사체검안서, 사망증명서, 관공서의 사망증명서 또는 매장인허증 등이 필요합니다. |
▶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여기서 확인해 보세요!
[별지 제4호서식] 동물등록 변경신고서(동물보호법 시행규칙).hwp
강원권 화장시설 페투헤븐 바로가기
댓글